| 주제 | 설명 |
|---|---|
| 앱 flow | 각 페이지별 깊은 depth 로 인해 발생하는 소통 문제 해결을 위해 flow 작성. |
| 권한 허용 여부에 따른 메인화면 flow | 지도가 핵심 기능인 만큼, 위치 권한과 GPS ON 여부에 따라 메인 화면의 flow 가 달라진다. |
| 사용자 경험을 고려한 지도 필터간 전환 | 필터에 따라 다르게 보여지는 지도와 맛집 마커를 전환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경험을 고려했다. |
| 왜 공공 API를 선택했나? | 근처의 모든 음식점을 가져올 때, 네이버/카카오 api 가 아닌 공공 api 를 선택한 이유? |
| 왜 이미지를 리사이징 하나? | Object Storage에 이미지를 업로드 할 때, 리사이징 하는 이유? |
| 어플리케이션 통신 과정 | 사용자의 요청부터 서버의 응답까지 어플리케이션 통신 과정 설계 이유 |
| 일반 회원가입 | 네이버 회원가입 |
|---|---|
![]() |
![]() |
| 홈 지도 | 위치 트래킹 | 홈 검색 |
|---|---|---|
![]() |
| 유저 추천 및 팔로우 | 지역으로 유저 검색 | 유저 검색 및 유저상세 |
|---|---|---|
| 맛집 등록하기 | 맛집 상세보기 | 위시리스트 추가하기 |
|---|---|---|
![]() |
![]() |
| 프로필 수정 | 나의 위시리스트 | 내 맛집 리스트 |
|---|---|---|
![]() |
![]() |
![]() |
- Android
| 분류 | 사용기술 |
|---|---|
| 아키텍처 | MVVM, Clean Architecture |
| 네트워크 통신 | Retrofit, Okhttp |
| 이미지 처리 | Glide, MultiPart |
| 비동기 | Coroutine, Flow |
| DI | Hilt |
| 데이터 저장 | DataStore |
- Backend
| 분류 | 사용 기술 |
|---|---|
| 서버 프레임워크 | NestJS |
| 프로그래밍 언어 | TypeScript |
| 테스트 | Jest, Docker, Apache Jmeter |
| 로깅 | Winston |
| DB | PostgreSQL, TypeORM |
| 웹 서버 | NginX |
| 클라우드 컴퓨팅 | Naver Cloud Platform |
| 이미지 저장 | Object Storage, multer, sharp |
| CI/CD | GitHub Action, Docker |
📍 협업 문서
✔️ 플로우차트 ✔️ 와이어프레임 ✔️ Feature List ✔️ Back Log
📍 팀원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|---|---|---|---|---|
| K011_노균욱 | K015_박진성 | K024_오세영 | J123_이태훈 | J155_최근혁 |














